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👉 신청부터 사용까지 한 번에 정리!
“50만 원 지원금 받았는데… 제대로 쓰긴 했을까요?”
신청은 했는데, 관리비엔 사용이 안 되고, 수도요금도 빠진다고 해서 당황하신 분들 많으시죠?
저도 처음엔 ‘관리비도 되지?’ 라고 생각했다가 크레딧 소멸 직전까지 놓칠 뻔했습니다.
그래서 오늘은 신청부터 지원 자격, 사용 방법,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📌 부담경감 크레딧이란?
✅ 연 매출 3억 이하 소상공인을 위해 전기·가스·수도요금 및 4대 보험료 납부 전용으로 제공되는 50만 원 크레딧 지원사업입니다.
✅ 신청과 사용 모두 공식 사이트 및 소상공인24에서 진행됩니다.
🎯 1. 신청 방법 & 대상 요건
- 📅 신청 기간: 2025년 7월 14일(월) 09:00 ~ 11월 28일(금) 18:00 (예산 조기 소진 시 종료 가능) :contentReference[oaicite:2]{index=2}
- ✅ 신청 대상:
- 2024 또는 2025년 연 매출 0원 초과 3억 원 이하
-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
- 현재 정상 영업 중이며 휴업·폐업 상태 아닐 것
- 유흥, 사행업, 가상자산 등 제외업종 아님
- 💳 카드 등록: 본인 명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록 (가족카드/기업카드 불가) :contentReference[oaicite:4]{index=4}
- 🌐 신청 절차: 본인 인증 → 사업자 정보 입력 → 카드 등록 → 신청 완료 → 문자 통보로 결과 확인 :contentReference[oaicite:5]{index=5}
📌 2. 사용 가능한 항목 vs 사용불가 사례
✅ 사용 가능한 항목
- 전기요금 (사업장용, 자동이체 카드등록 필수)
- 도시가스 요금
- 지자체 상하수도 요금 (단, 아파트 관리비 포함 수도요금은 제외)
-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료
❌ 사용 불가능한 항목 및 사례
- 아파트 관리비 전체(관리비에 포함된 수도요금은 제외 대상)
- 임대료, 인건비, 광고비 등 사업 외 항목
- 현금 인출, 계좌 이체로 대체 사용 불가
🙋 실사용 후기–관리비 멘붕 주의하세요!
저는 관리비에 포함된 수도요금을 사용할 수 있을 줄 알고 등록했다가, 실제로는 지자체 개별 고지서가 아닌 아파트 관리비용 전체는 적용 불가라는 걸 뒤늦게 알았어요.
그래서 실제 사용은 국민연금 납부 → 다음달 전기요금 순서로 진행했고, 미리 이력 확인도 해봤더니 문제없이 적용됐습니다.
📊 지원 항목별 사용 가능 정리
항목 | 사용 가능? | 비고 |
---|---|---|
전기요금 (사업장용) | ⭕ | 등록 카드로 자동 차감 |
상하수도 요금 (지자체 청구) | ⭕ | 관리비 포함된 수도는 제외 |
국민연금 납부 | ⭕ | 납부번호 맞춰 입력 필수 |
아파트 관리비 전체 | ❌ | 수도요금 포함돼도 적용 안 됨 |
사업자 인건비·임대료 | ❌ | 사업 외 고정비는 제외 |
✅ 신청 및 사용 전 반드시 체크!
- ✅ 공식 사이트(부담경감크레딧.kr 또는 소상공인24)에서 신청했나요?
- ✅ 본인 명의 카드가 제대로 등록되었나요?
- ✅ 아파트 관리비가 아닌 지자체 별도 청구서인지 확인했나요?
- ✅ 자동이체 상태라도 카드 등록이 자동 차감 가능하게 되어 있나요?
- ✅ 크레딧 사용기한(2025년 12월 31일) 이전에 모두 소비할 예정인가요?
📌 요약 정리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생활형 고정비 경감을 위한 50만 원 지원사업이며, 전기·가스·지자체 상하수도 요금 및 4대 보험료에만 사용 가능합니다. 단, 아파트 관리비에 포함된 수도요금은 사용 불가니 꼭 분리 고지서를 확인하세요! 또한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된다는 점도 꼭 기억해주세요.
관리비 포함 수도요금은 왜 사용이 안 될까?
많은 소상공인들이 “우리 건물은 수도요금이 관리비에 포함되어 나와요. 그래도 부담경감 크레딧으로 납부할 수 있나요?”라는 질문을 자주 하십니다.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아파트나 상가관리비에 포함된 수도요금은 사용 불가입니다.
💡 이유는?
-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‘지자체 또는 공공기관’이 직접 청구하는 요금에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.
- 관리비는 건물관리업체(민간)가 일괄청구하여, 행정청 고지 항목으로 구분되지 않습니다.
- 즉, 관리비 명목의 고지서는 크레딧과 연동되지 않음으로 인식됩니다.
📍 실제 사례
건물 내 사무실을 사용하는 A 대표님은, 매달 8만 원의 관리비 중 1.5만 원이 수도요금으로 포함돼 있어 해당 항목에 크레딧을 쓰려 했지만, 마이비즈에서 ‘사용 불가 대상 고지서’로 뜨며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.
✅ 해결책은?
- 🏢 상가 또는 공동 건물 소유자라면, 수도요금을 별도 고지로 전환 요청할 수 있는지 건물 관리사무소에 문의해보세요.
- 📤 가능하다면, 개별 고지서를 직접 발급받도록 세팅하여 사용 가능합니다.
- 또는 다른 항목(국민연금, 건강보험료 등)으로 사용처를 변경하세요.
🚫 주의
청구서만 등록해놓고 자동으로 사용되겠지? 하고 기다리면 안 됩니다.
크레딧은 등록된 청구 항목이 인증된 공공기관·지자체 고지서일 때만 자동 차감됩니다.
따라서, 관리비(민간 청구 항목)에는 크레딧이 적용되지 않으니 반드시 공공기관 고지서인지 먼저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납부처 변경까지 고려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